초속 60㎞ 로 통과 중, 10월 태양 근접 후 이탈
미국 애리조나대 카탈리나 스카이 서베이의 엔지니어인 데이비드 랭킨은 지난 2일 성간 혜성 3I/ATLAS를 포착했다./David Rankin/Saguaro Observatory
태양계 바깥에서 온 것으로 추정되는 천체가 포착됐다. 미 항공우주국(NASA)을 포함한 연구 기관들의 분석 결과, 지구에는 위협이 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천체는 지난 1일(현지 시각) 칠레 리오 우르타도의 소행성 충돌 최종 경보시스템(ATLAS) 관측망에 처음 포착됐다. 천체의 명칭은 ‘3I/아틀라스(3I/ATLAS)’로, 원래는 A11pl3Z라고 불렸다.
NASA는 이전 자료를 분석해 6월 14일 이래 3I/아틀라스 궤적을 추적하고 있다. 궤도로 볼 때 이 천체는 태양계 외부에서 온 것으로 추정됐다. 2017년 오우무아무아, 2019년 보리소프에 이어 인류가 발견한 세 번째 성간(星間, interstellar) 천체다. 성간 천체는 태양계 바깥에서 온 천체를 말한다.
3I/아틀라스는 미약한 꼬리와 가스 대기층인 ‘코마(coma)’가 확인돼 혜성(彗星) ‘C/2025 N1’이라는 명칭도 부여됐다. 혜성은 소행성(小行星)과 마찬가지로 태양 주변을 긴 타원 궤도를 따라 도는 작은 천체이지만, 꼬리가 있다는 점이 다르다. 이번 혜성은 태양계계 밖에서 왔다는 차이가 있다.
현재 이 천체는 태양에서 약 6억7000만㎞ 떨어진 거리에서 궁수자리 방향으로 초속 약 60㎞로 태양계를 통과 중이다. NASA에 따르면, 오는 10월 30일쯤 태양에 약 2억㎞ 거리까지 접근한 뒤, 방향을 틀어 태양계를 빠져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화성 궤도보다 약간 안쪽까지 접근하는 수준이다.
성간 천체 '3I/ATLAS'의 궤적. 10월에 태양에 가장 가까이 접근할 예정이다./미 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천체의 크기는 최대 20㎞까지 추정됐다. 혜성의 가스 층인 코마의 밝기로 추산된 수치다. 공룡을 멸종시킨 칙술루브 소행성의 예상 지름인 12㎞보다 크다. 다만 혜성의 가스 구름 때문에 실제 크기보다 더 크게 예측됐을 가능성이 있다. 또 공룡 시대와 달리 이 혜성은 지구에 위협을 주지 않는다. NASA는 “이 천체는 지구에 위협이 되지 않으며, 적어도 약 2억 4000만㎞의 거리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성간 천체가 잇따라 관측되면서, 은하 안에 생각보다 많은 유사 천체가 존재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천문학계는 앞으로 추가 관측을 통해 천체의 성분과 기원 등에 대한 정밀한 분석을 이어갈 예정이다.
마크 노리스 영국 센트럴 랭커셔대 교수는 영국 가디언에 “이번 천체가 성간 천체로 확정되면, 성간 천체가 우리은하에 비교적 흔하다는 증거를 더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3I/아틀라스는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다. 노리스 교수는 “10월에 가까워지면 아마추어 망원경으로도 관측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NASA도 “3I/아틀라스는 9월까지 지상 망원경으로 관측할 수 있지만, 그 이후에는 태양에 너무 가까이 접근하여 관측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12월 초에는 태양 반대편에 다시 나타나 관측을 재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참고 자료
NASA, https://science.nasa.gov/blogs/planetary-defense/2025/07/02/nasa-discovers-interstellar-comet-moving-through-solar-system/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