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2차 추경안 국회 본회의 통과
공공·의료·제조 분야 AI 활용에 656억원… 'AI 사용 확산' 지원 초점
우원식 국회의장이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제426회국회(임시회) 제5차 본회의 개의를 선언하고 있다. /사진=뉴스1
4일 2차 추가경정(추경) 예산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가운데 정부가 AI(인공지능) 분야에 예산 1793억원을 추가 투입한다. 공공 및 산업 분야에서의 AI 사용 확산을 가장 시급한 과제로 보고 최우선 투자한다는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4일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1793억원 규모의 AI 분야 제2회 추경 예산안이 의결됐다고 밝혔다.
이번 추경은 'AI 3대 강국'을 목표로 AI 활용 확산과 공공서비스 혁신을 위한 정부 사업에 초점을 맞췄다.
먼저 예산 총 656억원을 투입해 공공·의료·제조 분야에 AI를 접목한다. △공공 부문에 AI를 적용하는 '공공 AX 프로젝트' (150억원) △AI 기반 의료 예후관리서비스 개발(40억원) △제조업의 기술 고도화를 위한 AX 실증 플랫폼 구축(40억원) △피지컬 AI 핵심기술 POC(426억원) 등이다.
공공 AX 프로젝트는 부처의 수요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업이 AI 솔루션을 개발·실증하는 사업이다. 개발한 AI 솔루션은 수요 부처와의 협의를 통해 현장에 도입할 계획이다. 또 휴머노이드 등 '움직이는 AI'를 뜻하는 피지컬 AI 개발을 위한 현실 데이터 수칩체계 구축, AI 모델 설계 등에도 투자한다.
아울러 2025년 본예산과 1차 추경을 통해 확보한 1000억원 규모의 AI 혁신펀드 외에도 500억원 규모의 AI 혁신펀드를 추가 조성한다. 민간의 적극적인 투자를 유도해 AI 분야 초기 스타트업을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국산 AI 반도체(NPU·신경망처리장치) 분야에도 1차 추경(494억원)에 이어 300억원을 추가 투입한다. 최신 AI 모델과의 호환성 확대, 고비용 설계 IP(지식재산권) 활용 등 제품 고도화 사업을 지원한다.
이 밖에도 정보보호 강화와 청년·취약 계층의 AI 역량을 높이기 위한 지원책에 약 247억원을 투자한다. △고위험 산업군 대상 정보보호 관리체계 특화 인증항목 개발(67억 4000만원) △생성형 AI 기반 침해 대응체계 구축(50억원) △대규모 인터넷 장애 방지를 위한 인터넷 경로 보안체계(30억원) △전국 단위 AI 디지털 배움터(66억원) △청년 대상 맞춤형 AI·소프트웨어 교육 확대(34억원) 등이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2차 추경은 공공, 산업, 민생 전반에서 AI가 실질적인 혁신을 이끌 수 있도록 가장 시급히 추진해야 하는 사업을 중심으로 편성했다"며 "1차 추경을 통해 확보한 핵심 인프라를 바탕으로 이번 추경 예산과 더불어 AI 대전환을 속도감 있게 뒷받침하겠다"고 했다.
박건희 기자 wissen@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