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새벽 중서부전선 MDL 넘어와 첫 식별 후 밤 늦게까지 20시간 작전
北측 철책·방벽 작업 안 한 지역으로 넘어와…북한군 특이동향 없어
지난달 4일 경기 파주시 접경지역에서 바라본 남측 대성동 마을에 태극기와 북측 기정동에 인공기가 펄럭이고 있다.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군이 지난 3일 야간 중서부 전선에서 군사분계선(MDL)을 넘어온 남성 1명의 신병을 확보해 남하 경위를 조사 중이다.
군은 관련 내용을 유엔군사령부에 공유했으며 현재까지 북한군의 특이동향은 없다고 전했다.
4일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전날인 3일 새벽 3~4시쯤 우리 군은 비무장지대(DMZ) 감시장비로 중서부 전선 MDL 일대에서 미상 인원 1명을 포착했다.
합참은 "군은 MDL 일대에서 해당 인원을 식별해 추적·감시했고, 정상적인 유도 작전을 실시해 신병을 확보했으며, 세부 남하 과정에 대해서는 관계기관에서 조사 예정"이라고 밝혔다.
해당 인원은 수심 1m 이내의 하천에서 발견된 수풀에 숨어 낮까지 거의 움직이지 않아 식별이 어려움이 있었으나, 야간에 이동하기 시작해 MDL을 넘어오자, 군은 북한 주민으로 추정되는 남성 주민 1명의 신병을 확보했다.
작전은 첫 식별부터 오후 11시 이후까지 20시간가량 이어졌다. 우리 군 작전팀은 이 인원과 약 100m 떨어진 곳에서 최초 접촉해 비무장 상태의 남성임을 확인한 뒤 유도 작전을 실시했다. 이 인원은 자신이 민간인이라고 밝혔으며 무장은 없었다고 알려졌다.
야간에 투입된 작전팀은 북한 주민에게 최대한 접근해 "우리는 대한민국 국군이다. 안전하게 안내하겠다"고 말했고, 이 인원은 특이 행동 없이 곧바로 우리 군을 따라온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이후 밤 11시쯤 DMZ로 나와 안전한 곳으로 함께 이동했다고 합참 관계자는 설명했다.
북한은 지난해부터 MDL 일대에 철책을 보강하고 대전차용으로 추정되는 방벽을 쌓는 등 전방 경계를 강화해 왔다. 그가 넘어온 강과 하천이 있는 지역은 그런 작업이 이뤄지지 않았던 곳으로 다만 미확인 지뢰가 있고 수풀이 우거져 이동이 쉽지는 않은 지역으로 전해졌다.
합참 관계자는 "해당 인원이 넘어온 지역은 연천과 파주 사이 지역인 것으로 보인다"며 "북한이 경계선화(단절 조치)를 한 지역은 아니고, 하천이 MDL인 지역"이라고 설명했다.
우리 군은 관계기관에 이 인원을 인도해 현재 남하 이유 및 과정 등을 조사 중이다. 해당 주민의 정확한 귀순 의사 등은 관계기관 조사를 통해 밝혀질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해 8월 8일 북한 주민 1명이 썰물을 틈타 한강 하구 중립 수역을 통해 걸어서 귀순했고, 같은 달 20일엔 북한군 1명이 강원도 고성 동해선 인근 MDL을 넘어와 귀순 의사를 밝힌 바 있다. 또한 9월 17일엔 북한 주민 1명이 무동력 소형 목선을 타고 서해 백령도 북방한계선(NLL)을 넘어 귀순했다. 우리 군은 북한 인원이 남쪽으로 내려올 때마다 감시장비로 포착, 정상적인 유도 작전을 수행해 신병을 확보해 왔다.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