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내년까지 7500개로 확충
“종량제 시행후 시민의식 올라
가정쓰레기 무단투기 드물 것”
명동 등 관광특구3곳 시범설치
자치구 비용·인력 확보는 숙제
서울시가 쓰레기 수거 수수료 종량제 전면 시행 30년을 맞아 길거리 공공 쓰레기통을 다시 종량제 시행 이전 수준으로 늘리기로 했다. 가정 쓰레기 무단 투기를 막기 위해 가로(街路) 쓰레기통을 점차 줄여왔으나 너무 줄어들다 보니 가로 쓰레기통 부족으로 인한 시민 불편 민원이 커지고 있어 이를 반영한 것이다. 시는 이와 관련, 새롭게 개발한 대용량 가로 쓰레기통을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 시범 설치한 이후 시민 반응을 살피며 더욱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1일 시에 따르면 종로·청계특구, 명동·남대문·북창동·다동·무교동특구, 동대문패션타운특구 등 관광특구 3곳에 대용량 가로 쓰레기통 30여 개가 시범 설치된다. 이번에 설치되는 쓰레기통은 시에서 새롭게 디자인한 것으로 기존 쓰레기통 용량의 2배 이상을 처리할 수 있다. 일반 쓰레기와 재활용 쓰레기를 구분해 버릴 수 있도록 했다. 시는 가로 쓰레기통 설치 이후 시민 반응을 살펴 다른 관광특구(이태원특구, 홍대문화예술특구, 강남마이스특구, 잠실특구)에도 확대 설치할 계획이다.
시는 관광특구 외에도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 등의 거리 환경 개선을 위해 가로 쓰레기통을 설치해야 할 필요가 있는 장소에 자치구가 설치할 수 있도록 지원에 나선다. 시는 이를 위해 올해 가로 쓰레기통 설치 지원 예산을 4억8600만 원으로 책정했다. 지난해 7200만 원보다 575% 증가한 금액이다. 시와 자치구는 가로 쓰레기통 설치 비용(약 50만 원)을 절반씩 담당키로 했다. 시는 가로 쓰레기통을 점차 늘려 2025년까지 7500개 수준까지 확충하고 추가로 담배꽁초 수거함도 설치할 계획이다.
시가 가로 쓰레기통을 늘리게 된 것은 쓰레기 종량제가 어느 정도 정착돼 시민의식이 올라가 가정 쓰레기 무단 투기가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관광객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유동인구가 많은 곳을 중심으로 공공 쓰레기통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1994년 쓰레기 종량제(시범기간 포함) 실시 이후 가정 쓰레기를 가로 쓰레기통에 갖다 버리는 사람들이 늘면서 시는 점차 쓰레기통을 없애왔다. 실제로 1994년 7607개였던 가로 쓰레기통은 2007년 3707개까지 줄었다가 2023년 다시 5380개로 다소 늘긴 했으나 이는 쓰레기 종량제 시행 이전 수준의 70%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가로 쓰레기통을 설치해 달라는 시민들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시 관계자는 “시민의식이 향상돼 가로 쓰레기통에 가정 쓰레기 등을 무단 투기하지 않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다만 쓰레기통 관리는 자치구 소관으로 쓰레기통 증가에 따른 관리 비용과 필요 인력 확보는 자치구가 떠안아야 하는 숙제다. 한 자치구 관계자는 “도시 환경을 담당하는 공무원들의 업무 강도가 크게 늘어나지 않도록 협의를 통해 관리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정민 기자 jay@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