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국회 본회의에서 2025년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수정안이 통과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재명 정부 초대 내각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가 임박하면서 여야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앞서 김민석 국무총리 인준을 둘러싼 충돌 이후 또다시 강대강 대치가 펼쳐질 가능성이 크다.
앞서 김 총리는 국민의힘이 본회의 표결에 불참하면서 국회 인준을 받았다.
더불어민주당은 “민생 회복과 경제 정상화를 위한 내각 조속 구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국민의힘은 장관 후보자들의 도덕성과 정책 역량을 문제 삼으며 송곳 검증을 벼르고 있다.
6일 기준 확정된 인사청문회 일정은 오는 14일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를 시작으로 15일에는 권오을 국가보훈부·김성환 환경부·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후보자, 16일에는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청문회가 예정됐다.
민주당은 이번 청문 국면의 기조를 '최대한 빠른 통과'로 잡고 있다. 신속한 1기 내각 구성을 통해 국정 초반 동력을 확보하고, 개혁과 정책 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는 구상이다. 당 내부에선 현재까지 제기된 의혹들 가운데 '결정적 결격 사유'는 없다는 판단이다.
현역 의원 출신 인사들이 다수 포진한 점도 청문회 통과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장관 후보자 17명 중 안규백(국방), 윤호중(행정안전), 정동영(통일), 정성호(법무), 김성환(환경), 전재수(해양수산), 강선우(여성가족) 등 7명이 민주당 소속 현역 의원이다. 선거 과정에서 이미 검증을 거친 인사들인 만큼 무리 없이 임명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반면 국민의힘은 이번 인사를 “여권과 대선 캠프 출신에 대한 보은 인사”라고 규정하고 강도 높은 검증을 예고했다.
야당은 특히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 권오을 보훈부 장관 후보자,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 김영훈 노동부 장관 후보자 등을 부적격 인사로 지목하고 집중 검증할 계획이다.
이준우 국민의힘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이진숙 후보자의 연구윤리 위반 의혹은 범죄에 준하는 수준”이라며 “교육부 장관 후보자보다는 '연구윤리 파괴자'라는 표현이 더 어울릴 지경”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 대변인은 이어 “교육부가 2015년부터 금지한 부당한 저자 표시와 표절에 해당하는 명백한 연구윤리 위반이며, 국가 연구비 횡령 의혹까지 제기되는 상황”이라며 “제자의 연구성과를 가로채고 학계를 기만한 인물이 대한민국 교육의 백년대계를 책임질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 후보자는 즉각 석고대죄하고 자진 사퇴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윤호 기자 yuno@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