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리한 다이어트는 뼈의 건강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사진 연합뉴스.
단기간에 살을 빼려는 욕심에 금식을 하는 등 무리한 다이어트를 진행하면 신체에 무리를 줄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갑작스런 단식으로 인해 몸에 필요한 영양소가 제대로 공급 되지 않아 신체 면역 체계를 무너뜨리고, 뼈의 건강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
6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골다공증 환자는 지난해 127만6222명으로 2020년 105만4892명 보다 4년 새 20만명 넘게 증가했다. 성별로 보면 2023년 진료를 받은 여성은 120만3043명, 남성은 7만3179명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무려 16배 이상 환자가 많았다.
박동우 미래본병원 정형외과 전문의는 “무리한 다이어트로 무릎관절이나 척추 손상을 입어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가 늘고 있다”며 “보통 골감소증이나 골다공증은 폐경이 시작되는 50세 전후에 급격히 진행되는 것이 대부분인 것을 감안하면 무리한 다이어트가 질환에 주요 원인일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최근에는 올바르지 못한 영양섭취와 무리한 다이어트로 30~40대 젊은 주부들도 골다공증 초기증세인 골감소증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가 많다”고 설명했다.
골감소증과 골다공증은 칼슘이 부족하거나 폐경기의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여성들이 나이가 들어 폐경에 이르게 되면 갑작스러운 호르몬의 감소로 골격대사에 이상이 생기거나 칼슘대사에 균형이 깨지면서 골질량과 골밀도가 감소해, 뼈에 구멍이 뚫리는 골다공증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최근에는 골감소증이나 골다공증이 젊은 여성들에게서도 발병하고 있다. 젊은 여성들 사이에서 인기인 ‘원푸드 다이어트’ 등이 원인이 돼 골다공증의 초기증상인 골감소증으로 이어지고 있다.
다이어트를 하는 젊은 여성들이 쉽게 따라 하고, 많이 하는 다이어트 중의 하나가 한가지 음식만을 먹는 ‘원푸드 다이어트’다. 하지만 갑작스럽게 식사량을 줄이고 한가지 음식만을 섭취하면 영양의 불균형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칼슘 등의 영양소가 뼈에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골밀도가 약화되고 결국 골감소증이나 골다공증을 초래하게 된다.
골다공증을 막기 위해서는 평소 칼슘이 충분한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고 걷기나, 등산 등의 운동을 꾸준히 하고 햇빛을 쐬는 것이 중요하다. 칼로리가 높은 식단은 피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늘려 주는 다이어트 방법으로 건강도 챙기는 웰빙 다이어트가 필요하다.
골감소증이나 골다공증 환자는 치료에 앞서 생활 양식의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단백질, 칼슘, 비타민D를 균형 있게 섭취해야 한다. 칼슘의 경우 하루 1000~1500㎎을 섭취해야 한다. 비타민D의 경우 하루 400 IU(결핍 위험이 높은 여성의 경우 800 IU/일)를 섭취해야 한다. 비타민D의 경우 섭취도 중요하지만 태양빛에 적절한 노출로 체내 합성을 늘리는 것이 좋다.
허리 및 무릎 보호할 수 있는 운동으로는 자전거 타기와 수영이 꼽힌다. 또한 짜투리 시간을 활용해 뭉쳐 있는 허리를 풀어주는 것이 좋다. 먼저 양발을 벌려 양손을 허리에 댄 후 천천히 허리를 젖힌 후 다시 바로 선 자세를 유지한다. 이 동작을 10회정도 천천히 반복한다. 갑자기 허리를 젖히게 되면 허리에 무리가 갈 수 도 있으니 주의해야한다.
이미선 기자 already@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