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측 조사 거부한 박창환 총경 ‘조사 지원’
특검 “조사량 매우 많아…추가 소환 검토”
내란 특검 2차 출석하는 윤석열 전 대통령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5일 내란 특검의 2차 조사를 받기 위해 조은석 특별검사팀 사무실이 있는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에 출석하고 있다. 2025.7.5 [공동취재] superdoo82@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윤석열 전 대통령이 5일 12·3 비상계엄 사태 관련 내란·외환 혐의를 수사하는 내란특검(특별검사 조은석) 2차 소환에 출석했다. 지난달 28일 1차 출석한 지 일주일 만이다. 특검은 지난 조사에서 사실 확인 수준에 그쳤던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체포영장 집행 방해 혐의 조사를 시작으로 계엄 선포문 사후 작성 의혹과 평양 무인기 투입 지시 여부 등을 집중 추궁할 전망이다.
윤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9시 특검 사무실이 있는 서울 서초구 고등검찰청에 도착했다. 짙은 남색 정장에 붉은 넥타이 차림으로 변호인단과 동행한 윤 전 대통령은 ‘국민들에게 사과할 생각이 없나’, ‘오늘도 조사를 거부할 것인가’, ‘사후 계엄 선포문 작성에 관여했나’, ‘문건 폐기를 왜 승인했나’ 등 취재진 질문에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이 도착하자마자 별도 티타임 없이 9시 4분쯤부터 체포영장 저지 혐의 조사부터 시작했다. 박지영 특검보는 이날 언론 브리핑에서 “현재 체포 저지 관련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특검측에선 박억수·장우성 특검보, 김정구·조재철 부장검사, 박창환 경찰청 중대범죄수사과장(총경), 구순기 검사, 문형석 수사관 등이 참여했다. 신문은 김정구·조재철 부장검사가 진행하고 박창환 총경은 ‘조사 지원’ 형식으로 참여한다는 게 특검 측 설명이다.
이는 지난 조사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이 박 총경이 직접 신문하는 것을 문제 삼은 데 따른 조치로 풀이된다. 당시 윤 전 대통령 측은 “특검은 검사가 조사하는 게 맞는다”며 박 총경 배제를 요구했다. 특검 측은 박 총경이 조사 ‘지원’ 업무를 하는 것과 관련해 “수사 효율성을 고려한 것”이라고 설명했는데, 신속한 수사를 위해 한 발 물러선 것으로 보인다. 박 특검보는 “현재 순조롭게 신문이 진행되고 있다”고도 전했다.
특검은 이날 특수공무집행방해와 직권남용, 허위공문서 작성, 외환 등 윤 전 대통령의 혐의를 광범위하게 조사할 계획이다. 박 특검보는 “전체적으로 저희가 생각하는 피의 사실과 관련해선 전반적으로 다 이뤄질 것”이라며 “조사량이 매우 많다”고 전했다. 특검은 계엄 사후 문건이 작성되고 폐기된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이 불법 계엄을 은폐하려 했다는 의혹과 ‘윤 전 대통령이 군 드론작전사령부에 평양 무인기 투입을 직접 지시했다’는 군 관계자 진술 등을 따져물을 전망이다. 박종준 전 대통령경호처장과 김성훈 전 차장을 조사하며 체포 방해 및 비화폰 기록 삭제 지시 의혹 조사를 위한 준비 작업도 마쳤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 2차 소환을 앞두고 한덕수 전 국무총리 등 국무위원들과 군 관계자 상당수에 대한 조사를 마친 상태다. 다만 특검은 이들 중 일부는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했다며 윤 전 대통령 직권남용 혐의의 ‘피해자’가 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박 특검보는 “최근 일각에서 국무위원 전원을 소환, 전원을 피의자로 조사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며 “특검은 국무위원 전원을 소환한다는 방침도 없고 기조사한 이주호 전 교육부총리,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유상임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부 장관은 참고인으로 조사했다”고 밝혔다.
특검은 이날 자정을 전후로 조사를 마무리하고 미진한 부분이 있으면 윤 전 대통령을 추가 소환해 조사한다는 계획이다.
최영서 기자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