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시간 조사 李 "성실히 임했다", 12시간 조사 朴 '지금 드릴 말씀 없다'
특검, 비상계엄 당시 회의 재구성…체포 저지·비화폰 삭제 의혹 조사
이주호 교육부 장관(왼쪽)과 박종준 전 경호처장이 4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내란특검에 출석하고 있다. 2025.7.4/뉴스1 ⓒ News1 구윤성 기자
(서울=뉴스1) 정재민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하는 내란특검팀(조은석 특별검사)이 4일 박종준 전 경호처장과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을 각각 소환 조사했다.
내란 특검은 오는 5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2차 소환 조사를 앞두고 체포 저지 혐의, 비상계엄 선포 국무회의 등을 집중적으로 조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팀은 이날 오후 2시부터 특검 조사실이 마련된 서울고검으로 박 전 처장과 이 부총리를 소환조사했다.
박 전 처장은 조사 12시간여 만인 5일 오전 2시 26분쯤 조사를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특검에서 어떤 것 위주로 물었나', '체포 영장 집행 방해 혐의는 인정하는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시한 건가' 등의 질문에 별다른 대답 없이 "지금 드릴 말씀이 없다"고만 했다.
앞서 그는 '김성훈 전 경호처 차장이 비화폰 통화 기록 삭제 책임자가 박 전 처장이라고 주장하는데 어떻게 보나'라는 취재진 질문에 "여러 가지 관련된 사항들을 수사 과정에서 소상히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다만 '체포영장 집행 저지 지시를 윤석열 전 대통령한테 수차례 받은 게 맞나', '비화폰 통화 기록을 삭제하기 전에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과 무슨 통화를 했나' 등 질문에는 답하지 않았다.
박 전 처장은 지난 1월 경찰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윤 전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시도를 방해한 혐의를 받는다.
내란특검팀은 지난 3일 김 전 차장을 불러 17시간 동안 조사하는 등 체포 방해 과정과 비화폰 기록 삭제 지시 여부를 들여다보고 있다.
김 전 차장은 비상계엄 직후 윤 전 대통령의 지시를 받아 군 관계자들의 비화폰 통화 기록을 삭제하라고 지시했다는 혐의도 있는데, 김 전 차장은 당시 책임자가 박 전 처장이라 자신은 관여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유지했다.
이에 앞서 이 부총리 또한 특검팀 조사를 받고 약 5시간 만에 귀가했다. 그는 "참고인 조사에 성실히 임했다"며 귀갓길에 올랐다.
다만 '국무위원으로서 위임하지 못한 권한이나 의무가 있다고 생각하는가', '국무회의에 위법성이 있다고 생각하는가' 등의 질문엔 별다른 답을 하지 않은 채 "수고 많다. 감사하다"며 귀갓길에 올랐다.
이 부총리는 조사에 앞서 '국무회의 계엄 심의권을 침해당한 피해자라고 생각하나', '직권남용 피해자라고 생각하나', '비상계엄 선포 국무회의 전에 연락을 못 받은 게 맞나', '계엄 해제 국무회의 연락은 누구에게 받았나', '국무회의 위법성이 있다고 생각하나' 등 기자들의 질문에 모두 답하지 않고 조사실로 향했다.
이 부총리는 비상계엄 선포 전 열린 국무회의는 연락받지 못해 불참했고, 이튿날 비상계엄 해제를 위한 국무회의만 참석했다.
특검팀은 이 부총리를 상대로 국무회의에 소집 통보를 받지 못한 이유 등 비상계엄 전후 국무회의 상황에 관해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특검팀은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함께 계엄선포 전 국무회의에는 불참하고, 해제 국무회의만 참석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도 지난 2일 소환 조사했다.
ddakbo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