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측 수사 방해 경찰관 3명 파견"…국무위원 추가 소환 "결정 안 돼"
尹 외환 혐의 관련 "군 관계자 상당수 조사…다양한 조사 방식 강구"
윤석열 전 대통령이 3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우두머리 혐의·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 사건 9차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뉴스1 ⓒ News1 사진공동취재단
(서울=뉴스1) 정재민 이밝음 유수연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하는 내란 특검팀(조은석 특별검사)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5일 오전 9시에 출석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안다며 공개 출석이 원칙이라고 밝혔다.
또 윤 전 대통령 측의 조사자 교체 요구에도 불구하고 2차 조사에서도 체포 방해 혐의와 관련해 박창환 경찰청 중대범죄수사과장(총경)이 조사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박지영 내란 특검 특검보는 4일 오후 서울고검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윤 전 대통령도 5일 오전 9시까지 출석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앞서 특검팀은 오는 5일 오전 9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2차 소환을 통보했지만 윤 전 대통령은 출석은 하되 10분~20분가량 늦을 수도 있다고 밝혔다.
특검팀은 2차 소환도 1차 소환과 동일하게 서울고검 청사 정문으로의 공개 출석이 원칙이라고 부연했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 측 반발에도 2차 조사에서도 체포방해 혐의와 관련해 박 총경이 조사에 나설 것이라고 했다.
박 특검보는 "원칙적으로 체포 관련 부분은 박 총경이 조사를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며 "원칙적 기조는 조사자를 교체하지 않는다는 것"이라고 했다.
다만 윤 전 대통령의 조사 순서에 대해선 "현재로선 확정된 것이 없다"며 "윤 전 대통령의 출석 이후 조사 일정과 관련 대화를 한 다음 조사 순서가 결정되지 않을까 한다"고 덧붙였다.
박 특검보는 1차 수사에서 윤 전 대통령 측 변호인단이 조사자 교체를 요구하며 허위 사실을 유포해 수사 방해를 하고 있다며 경찰관 3명을 3일 자로 파견받아 관련 수사에 착수하기 위한 자료 수집을 하고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최근 한덕수 전 국무총리 등 비상계엄 전후 회의에 참석한 국무위원들을 줄소환한 것과 관련해선 "추가 소환 여부가 결정된 건 아니다"며 "상황이 변화하고 누가 어떤 진술을 하면 추가 조사가 필요할 수도 있어 할 수도, 안 할 수도 있다. 현 단계에서 추가 소환 여부를 말하긴 어려운 상황"이라고 답했다.
또 국무위원 소환 순서와 관련해선 "정해진 게 없다"며 "수사팀에서 필요하면 연락해 조율해서 오는 걸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국무위원 관련해선 그들의 권한과 의무, 역할을 전체적으로 살피고 있다"며 "권한은 행사해야 하고 의무는 이행해야 하고 역할은 해야 하지만 권한을 행사하지 않을 수도, 하고 싶었는데 못할 수도, 본인이 의무를 이행하지 안 한 경우도, 이행을 못하게 만든 경우도 있을 수 있어 그런 부분을 다 조사하고 있다"고 했다.
박 특검보는 윤 전 대통령이 사후 계엄 선포문을 결재했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선 "사실관계에 대한 부분이고 중요한 피의 사실 중 하나가 될 수 있어 확인해 줄 수 없다"고 했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의 외환 유치 혐의에 대해선 군 관계자에 대해 상당수 조사가 됐다고도 전했다.
박 특검보는 "숫자는 밝히기 어렵지만 외환 관련 부분에 대해선 상당수 조사가 이뤄지고 있다"며 "(방문조사 등) 다양한 방법이 강구되고 강구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4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 2차 소환을 앞두고 관계자들이 캐비닛 등 사무용 가구들을 내란특검 사무실로 옮기고 있다. 2025.7.4/뉴스1 ⓒ News1 구윤성 기자
ddakbo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