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은정 신임 동부지검장 취임식
“심우정 총장 퇴임사, 사실이었으면 위기였겠나”
“수사구조 개혁, 우리가 자초한 것”
임 신임 지검장, 출근길서 尹 비판도
[이데일리 정윤지 기자] 임은정(51·사법연수원 30기) 신임 동부지검장이 4일 취임했다. 임 신임 지검장은 취임사에서 검찰의 표적 수사와 봐주기 수사를 인정하고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은정 신임 서울동부지검장이 4일 서울 송파구 서울동부지방검찰청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날 오전 10시 서울 송파구 문정동 서울동부지검 청사 대강당에서 진행된 동부지검장 취임식에서 임 신임 지검장은 “국민들이 수년간 지켜보았던 표적 수사와 선택적 수사, 제 식구 감싸기와 봐주기 수사를 인정하자”고 말했다.
임 신임 지검장은 현재 검찰이 위기를 맞았다고 말했다. 그는 “역대 서울 동부지검 검사장들의 취임사와 최근 심우정 검찰총장의 퇴임사도 구해 읽어봤다. 서글펐다”며 “그 말들이 사실이었다면 검찰이 지금과 같은 위기를 맞았겠나”고 운을 뗐다.
이어 “특정인과 특정 집단에 대한 표적 수사가 거침없이 자행됐고 특정인과 특정 집단에 대한 봐주기가 노골적으로 자행된 것 역시 사실이다”며 “김학의 전 차관의 긴급 출국금지 사건 등 표적 수사 의혹이 제기된 사건의 숱한 피고인들은 기나긴 법정 공방 끝에 무죄 판결을 받았고 검찰은 사과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임 신임 지검장은 또 검찰개혁 논쟁의 원인이 검찰 내부에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지금 수사구조 개혁의 해일이 밀려들고 있다. 우리 스스로 자초한 것이다”며 “검찰권을 지키기 위해 목소리를 높일 것이 아니라 국민의 신뢰를 찾기 위해 목소리를 높이고 행동하자”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주권자 국민에게 변명할 것이 아니라 변화를 보여야 한다”며 “늦었지만 그럼에도 지금이 우리에게 주어진 가장 빠른 적기”라고 했다.
임은정 신임 서울동부지검장이 4일 서울 송파구 서울동부지방검찰청으로 출근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날 임 신임 지검장은 출근길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검찰 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저도 검찰을 믿을 수 없어서 공수처에 갔던 사람으로서 검찰이 지금까지 잘못된 거니까 봐주기 수사, 거짓말에 대해 검찰이 (비판을) 감수해야 한다”며 “검찰개혁은 수술대 위에 놓인 상황”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해서도 그는 “우리가 존경했던 검찰 선배가 내란 수괴로 수사를 받고 있는 것, 참담해야 할 일이 많이 일어났다”고 비판했다. 임 신임 지검장은 또 “윤석열 검찰총장 시절부터 월성원전 사건이나 통계조작 사건이나 민주당 정부를 향한 표적수사가 수년간 지속돼 있어서 일선 장기 미제 사건이 한두 건이 아니다”며 “여기서는 인지수사보다는 최대한 주어진 사건에 대해 공정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검찰개혁에 속도를 내겠다는 이재명 대통령의 입장에 대해서 임 신임 지검장은 “제가 어제까지 국정기획위원회 전문위원으로서 출석했고 앞으로도 자문위원으로서 계속 제 목소리와 고민을 담아내려 한다”고 말했다.
임은정 신임 서울동부지검장이 4일 서울 송파구 서울동부지방검찰청에서 취임식을 마치고 직원들과 인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임 신임 지검장은 그간 지속적으로 검찰 내부 폭로자를 자처해왔다. 지난 2012년 서울중앙지검 평검사로 일하며 고(故) 윤길중 진보당 간사장에 대한 재심 공판에서 상부의 지시를 듣지 않고 무죄를 구형하며 세간의 이목을 끌었다. 2021년에는 검찰총장이던 윤 전 대통령의 ‘한명숙 모해위증교사 수사 방해 의혹’을 폭로했으며, 이듬해 더불어민주당이 주도한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추진에 대한 내부반발이 거세지자 검찰 비판에 앞장섰다.
앞서 대전지검 부장검사로 일하던 그는 지난 1일 이재명 정부의 첫 검찰 간부 인사에서 검사장 승진과 동시에 동부지검장으로 임명됐다. 윤 전 대통령 시절 한직을 전전하던 그는 이재명 정부 출범과 동시에 국정기획위위원회 정치행정분과 전문위원으로 위촉돼 활동했다.
정윤지 (yunji@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