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부터 내용까지 상당수 겹쳐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충남대 건축공학과 교수 재직 시절 제자의 석박사 학위 논문을 그대로 요약해 학술지에 발표한 사례가 여럿 확인됐다. 그러면서 이 후보자는 본인을 ‘제1 저자’로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본지가 2000년 이후 이 후보자가 1저자로 쓴 논문을 비슷한 시기 이 후보자가 지도한 대학원생들의 석박사 학위 논문과 비교한 결과, 10개 이상 논문에서 제자 학위 논문을 표절한 정황이 나타났다.
문제가 된 이 후보자의 논문들은 제자들의 석박사 학위 논문과 비슷한 시기나 길게는 1년여 뒤 학술지에 발표됐다. 이들 상당수는 제자 학위 논문에 실린 실험 데이터, 연구 대상·장소뿐 아니라 결론까지 별다른 수정 없이 가져왔다. 예를 들어, 이 후보자가 2009년 3월 대한건축학회에 발표한 ‘공동주택 야관 경관 조명 사례 조사를 통한 조명 디자인 감성 평가’는 그해 2월 발행된 이 후보자 지도 대학원생 김모씨의 석사 학위 논문 ‘공동 주택 야간 경관 조명 디자인 지침에 관한 연구’와 상당수 내용이 겹쳤다. 논문 표절 검색 서비스 ‘카피킬러’로 두 논문을 비교한 결과, 표절률이 52%로 나왔다. 통상 표절률이 20%를 넘으면 다른 논문을 베낀 것으로 보는데, 배 넘는 수치가 나온 것이다. 동일 문장(6어절 이상)이 19개, 의심 문장(일부만 같은 문장) 73개가 포함된 것으로 분석됐다.
그래픽=백형선
이 후보자가 2003년 7월 대한건축학회에 발표한 논문 ‘UGR(Unified Glare Rating·눈부심 등급)의 보정 및 불쾌글레어 주관 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는 전년도 8월 권모씨의 석사 학위 논문 ‘UGR(Unified Glare Rating)의 보정 및 불쾌글레어의 주관 평가에 관한 연구’와 제목부터 내용까지 매우 비슷했다. 카피킬러로 두 논문을 비교 분석했더니, 표절률이 43% 나왔다. 두 논문의 유사도를 구글의 AI 서비스 ‘노트북LM’에서 분석했더니 “두 문헌은 제목, 초록, 서론, 이론적 배경, 실험 방법 및 결과, 그리고 결론에 이르기까지 매우 높은 수준의 내용 및 문장 유사성을 보인다”는 결과가 나왔다. 노트북LM은 “두 문헌의 핵심 내용이 완벽하게 일치할 뿐 아니라 동일한 표현과 문장 구조가 반복된다”면서 “두 문헌은 동일한 연구 프로젝트의 다른 형태의 결과물”이라고 했다.
이 후보자는 이렇게 제자의 학위 논문 내용을 상당수 가져와 다른 논문을 발표하면서 본인을 ‘제1 저자’로 올렸다. 제자들은 공동 연구자 등으로 표기됐다. 각주나 참고 문헌에 제자의 학위 논문을 인용했다는 문구도 없었다. 일반적으로 교수가 본인이 지도한 석박사생의 학위 논문을 요약해 학술지에 투고하는 경우는 많다. 하지만 이때 ‘1저자’는 논문 작성자인 석박사생이 되며, 논문을 지도한 교수는 통상 ‘교신저자’로 이름을 올린다. 또 각주에는 ‘본 연구는 ○○○의 대학교 석사(혹은 박사) 학위 논문을 요약·수정했다’라는 단서도 달아야 한다. 대부분 국내 학회들은 이런 연구 논문 작성 규정을 철저히 따르고, 이를 어기면 연구 윤리를 위반한 것으로 간주한다. 서울 지역 사립대 공대 A 교수는 “교수가 학생에게 논문의 아이디어나 주제를 제공했다 해도 연구에 가장 기여한 것은 학생이기 때문에 그걸 요약해 학술지에 발표할 때도 1 저자는 학생이 되어야 한다”면서 “지도 교수가 본인을 ‘1 저자’로 올린 것은 제자 연구를 본인의 연구 성과로 꾸민 것으로 심각한 연구 윤리 위반”이라고 말했다.
그래픽=백형선
이 후보자는 또 2018년 제목뿐 아니라 실험 설계 방식과 결론 등이 거의 동일한 논문 2편을 한 달 차이로 각기 다른 학술지에 발표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후보자는 각 논문에 서로 인용하거나 참고했다는 각주를 달지 않았다. 연구 윤리 규정에 어긋나는 부당 중복 게재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논문 표절 문제는 과거에도 교육부 장관이나 후보자의 발목을 잡았다. 2006년 노무현 정부 당시 김병준 교육부총리는 논문 표절 의혹이 제기돼 임명된 지 13일 만에 물러났다. 2014년 박근혜 정부 때 김명수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제자가 쓴 석사 학위 논문을 그대로 요약해 학술지에 발표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논란이 되자 대통령이 지명을 철회했다.
이 후보자 측은 이날 논문 표절 의혹에 대한 본지 질의에 “해당 사항은 인사 청문회를 통해 해명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