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 개시 후 첫 사건…13곳 압수수색 진행
특검 관계자 "수사 진척도·국민적 관심사 고려"
압수물 분석 끝낸 후 관련 피의자 소환 전망
[이데일리 백주아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를 둘러싼 각종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66·사법연수원 14기) 특별검사팀이 수사 개시 후 처음으로 삼부토건(001470) 등 13곳에 대한 강제수사에 돌입했다. 특검은 김 여사의 도이치모터스(067990) 등 주가조작 관련 의혹을 ‘1호 사건’으로 두고 관련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김건희 특검팀 문홍주 특별검사보가 3일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백주아 기자)
특검은 3일 오후 브리핑에서 “특검법 2조1호에 규정에 따라 삼부토건과 디아이디 등 회사 6곳, 관련 피의자 주거지 7곳 등 총 13곳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 중”이라고 밝혔다.
특검이 수사 개시 후 강제수사에 돌입한 것은 삼부토건 사건이 처음이다. 삼부토건 전·현직 사주와 대표이사 등은 사기적 부정거래 관련 등 자본시장법상 부정거래행위 금지 위반 혐의를 받는다. 이 사건은 지난해 9월 한국거래소와 금융감독원 관련 혐의 통보 이후 금감원 조사가 진행된 바 있다. 이후 지난 4월 금융위원회는 금감원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이들을 검찰에 고발했다. 특검은 지난 6월 서울남부지검으로부터 이 사건을 이첩받아 압수수색을 실시하게 됐다.
특검 관계자는 “이 사건을 먼저 시작한 것은 가장 준비가 된 것, 국민적 관심사가 가장 큰 사건 등이 중요한 기준이 됐다”며 “사건 혐의사실 및 이 사건 관련해 제기된 의혹을 최대한 신속하게 밝히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은 특검이 들여다볼 16개 의혹 중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사건에 포함된 것으로 김형근(56·29기) 특검보를 주축으로 수사가 이뤄지고 있다. 특검은 향후 압수물 분석을 끝낸 후 관련 피의자들을 줄소환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부토건은 2023년 5월 폴란드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한 국제 콘퍼런스에 원희룡 당시 국토교통부 장관과 함께 참석한 이후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주로 분류됐다. 삼부토건이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며 주당 1000원대에 머물렀던 주가는 같은 해 7월 5000원대까지 치솟았다.
특검은 삼부토건이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뛰어든 경위 등을 파악하기 위해 압수수색을 단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은 삼부토건 경영진이 주가를 인위적으로 부양하는 과정에서 김 여사가 개입했는지를 중심으로 수사를 확대할 예정이다.
한편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채해병 순직사고 수사외압 사건 수사 과정에서 불거졌다. 수사 외압을 사주한 것으로 의심받던 인물들이 속한 ‘멋쟁해병’ 카카오톡 대화방에서 이종호 블랙펄인베스트먼트 전 대표가 2023년 5월 14일 “삼부 내일 체크하고”라고 말한 것이 발단이 됐다. 이 전 대표는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에서 김 여사의 계좌관리인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이틀 뒤인 5월 16일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 여사는 우크라이나 영부인 젤렌스키 여사를 접견했다. 그다음 날인 17일 정부는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을 활용해 우크라이나의 재건 지원을 약속했다.
금감원은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을 조사해 삼부토건이 해외 재건사업을 추진할 능력이나 의사가 모두 없는 상황에서도 우크라이나 기업과 형식적 업무협약(MOU)을 맺는 방식으로 투자자를 속여 주가를 띄웠다고 판단했다. 이 과정에서 조성옥 전 삼부토건 회장, 이일준 회장 등은 수백억원대 부당이익을 얻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인 김건희 여사가 제21대 대통령선거일인 지난달 3일 오전 서울 서초구 원명초등학교에 마련된 서초4동 제3투표소에서 투표를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
백주아 (juabaek@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