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 병원선 항생제 관리 수준 '눈에 띄는 향상'…초기 성과 속 가능성 확인
질병청 "전문인력 교육·지침 개발로 현장 지원…성공적 정착에 총력"
항생제 남용 (PG) [정연주 제작] 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 정부가 항생제 오남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야심 차게 도입한 '항생제 적정 사용 관리(ASP)' 시범사업이 전문 인력 부족이라는 암초에 부딪혀 '반쪽짜리'로 운영되고 있다는 실태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업에 참여하는 병원과 그렇지 않은 병원 간의 항생제 관리 수준 격차가 드러나면서, 환자 안전에 대한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3일 질병관리청의 의뢰로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연구책임자 김봉영 교수)이 수행한 '국내 의료기관 내 항생제 적정 사용관리(ASP)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대상인 전국 300병상 이상 의료기관 153곳 중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곳은 46.4%(71곳)에 불과했다. 나머지 절반이 넘는 82곳(53.6%)은 사업에 참여하지 않고 있었다.
의료기관들이 사업 참여를 주저하는 가장 큰 이유는 '인력 부족'이었다. 미참여 기관의 79.5%가 'ASP 전담 인력 부족'을 지적했으며, '의사 부족'(60.2%), '약사 부족'(57.8%)이 뒤를 이었다. 항생제 관리의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정작 이를 실행할 감염 전문가를 채용하고 팀을 꾸릴 여력이 없는 병원이 대다수라는 의미다.
문제는 병원 간 항생제 관리 시스템의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자체적인 항생제 사용 지침 보유율은 참여 병원이 84.5%에 달했지만, 미참여 병원은 38%에 그쳤다. 특정 항생제를 지정해 처방을 관리하는 '제한항생제 프로그램'은 참여 병원 모두(100%)가 운영하는 반면, 미참여 병원은 56.6%만 시행하고 있었다.
특히 처방 후 환자 상태를 점검하고 개선을 유도하는 적극적인 관리 활동에서 그 차이가 두드러졌다. 미생물 검사 결과에 따라 더 적합한 항생제로 변경하도록 중재하는 활동은 참여 병원의 59.2%가 수행했지만, 미참여 병원의 수행률은 10%에도 미치지 못했다. 사실상 사업에 참여하지 못하는 병원에서는 항생제가 일단 처방된 후에는 제대로 된 사후 관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셈이다.
이에 대해 질병관리청 측은 시범사업의 긍정적 효과를 강조하면서도, 현장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질병청 관계자는 "사업 착수 4개월 만의 초기 평가임에도 참여 병원의 관리 체계가 빠르게 자리 잡는 등 효과가 입증됐다"며 "이런 인력난 해소를 돕기 위해 학계와 협력해 의사, 약사를 위한 ASP 전문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항생제 사용 지침을 지속해서 개발·배포하는 등 지원을 병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사업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서는 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일부의 노력만으로는 현장의 심각한 인력난을 해소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시범사업이 일부 대형병원만의 사업으로 전락하지 않고 항생제 내성이라는 국가적 위기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보다 과감하고 체계적인 국가 차원의 지원과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항생제 적정 사용 관리(ASP; Antimicrobial Stewardship Program)'는 병원 내에서 항생제가 꼭 필요한 환자에게만, 가장 적절한 종류로, 정확한 용량과 기간동안 사용되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감독하는 모든 활동을 뜻한다. 궁극적인 목표는 항생제의 불필요한 사용이나 오남용을 줄여 '슈퍼박테리아'로 불리는 항생제 내성균의 확산을 막고, 환자의 치료 효과는 높이는 것이다.
shg@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