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기 만료일 국회서 퇴임 기자회견 열어
"尹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해 국민 신뢰 못 얻어"
"혁신위로 무엇인가 할 수 있다는 생각 안일해"
"대선 패배 이후 당 개혁 성과 점수로는 빵점"
"새로운 당대표 전임 정부와 확실히 단절해야"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3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퇴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5.06.30. kkssmm99@newsis.com
[서울=뉴시스]김지훈 이승재 기자 =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임기 만료일인 30일 "다시 백의종군 국회의원으로 돌아가서 동료 선배 의원들의 개혁 의지를 모으겠다"고 밝혔다.
김 비대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퇴임 기자회견을 열고 "지금 저의 역할이 전당대회 출마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국민의힘이 지금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새로운 국민보수 정당으로 거듭나는 과정에 끝까지 함께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비대위원장은 6·3 대선 패배 후 탄핵 반대 당론 무효화 등 개혁안을 제시했으나 관철시키지 못했다.
그는 "대선 패배 후 사퇴 않고 개혁 요구를 해온 것은 우리가 처한 상황이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선거 패배 후 혁신을 내거는 모습으로는 넘길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금 보수야당이 아무리 맞는 말씀을 드려도 국민의 신뢰를 받지 못하는 것은 윤석열 정권의 유산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게 때문일 것"이라며 "이런 상황에서는 이재명 정권의 위선과 잘못을 국민들께 정확히 알리고 바로 잡는 대안 야당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고 말했다.
또한 "절체절명의 위기 상황 속에서 개혁을 향한 전당원 투표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는 것은 매우 안타깝고 위태로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 비대위원장은 '보수재건의 길'을 제안했다. 그는 "헌법가치를 실현하는 국민보수 재건의 길을 가겠다"며 "지난 정권의 불법적 계엄선포가 발생되기까지 대통령과 올바른 관계를 설정하지 못한 책임을 통감하며 헌법가치를 실현하는 국민보수 정당으로 재탄생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주권 실천의 길을 가겠다"며 "공천으로 충성을 강요하는 줄세우기 정치, 권력자에 기생하는 측근정치, 진영 대립을 이용한 선동정치, 부정선거론 등 각종 음모론, 추종자의 가치판단을 마비시키는 우상화 등 한국 정치의 낡은 폐습과 민주주의에 대한 새로운 독재 요인을 혁파하고 진정한 국민주권을 실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그는 "따뜻하고 혁신적인 보수의 길을 가겠다"면서 "기득권과 특권을 혁파하고, 사회의 구조적 불평등과 격차를 해소해 약자를 보호하고 사회의 건강한 활력이 되살아나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3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퇴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송언석 원내대표가 발언을 듣고 있다. 2025.06.30. kkssmm99@newsis.com
이와 함께 '도덕성 확립', '조화로운 헌법정신 추구', '세대통합 역사의식 확립' 등도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 "권력자와 특권그룹에 종속되지 않는 국민의 보수, 국가공동체를 되살리고 선진 대한민국을 이룩할 대안수권 국민정당으로 거듭나겠다"고 전했다.
김 비대위원장은 질의응답에서 송언석 원내대표가 혁신위원회 구성 의지를 밝힌 것에 대해 "진정으로 사과하고 혁신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며 "혁신위로 무엇인가 할 수 있다는 생각은 안일한 생각"이라고 했다. 아울러 "당원과 지지층이 했던 말 중 가슴 아팠던 말이 '해체하라는 말'이었다"라며 "단순한 분노의 표현이라고 생각 않는다"고 했다.
그는 비대위원장으로서 냈던 성과에 대해 "윤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에 대해 사과를 드리고 절연했다는 것, 그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의 탈당을 이끌었던 것"이라고 자평했다. 대선 이후의 당의 개혁 성과를 점수로 평가한다면 얼마를 줄 수 있겠느냐는 질문에는 "빵점"이라고 답했다.
차기 지도부에는 '탄핵의 강'을 건널 수 있는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봤다. 그는 "새로운 당대표에 대한 개인적인 시대정신은 전임정부와 확실히 단절할 의지가 있는지, 개혁을 확실하게 추진할 의사가 있는지 인 것 같다"며 "구성원 간의 대화와 타협을 통해 탄핵의 강을 넘을 수 있는 리더십이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이번 전대에 출마하지는 않겠지만, 탄핵의 강을 넘을 수 있는 확실한 주자가 있다면 함께 하겠다"고 밝혔다.
당내 구(舊) 주류 세력이 여전한 가운데서 개혁이 가능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는 "당내 기득권 세력은 와해될 것"이라며 "몸부림을 쳐본들 결과적으로 와해될 수밖에 없는 것이 순리와 상식에 맞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 특검 조사 비협조 등 태도 논란에 대해서는 "한 사람의 국민으로서 법과 원칙에 따라 수사를 받아야 한다. 그 안에서의 특권은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ikime@newsis.com, russa@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