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콘9에 실려 발사..임무궤도 성공 진입
위성 스스로 항법 계산해 천체 위치 관측
텔레픽스의 심우주항법용 차세대 AI 별추적기가 실린 스페이스X의 팔콘9이 발사되고 있다. 텔레픽스 제공
텔레픽스의 심우주항법용 차세대 AI 별추적기가 실린 스페이스X의 팔콘9이 발사되는 모습. 텔레픽스 제공
국내 기업이 달·화성 등 심우주 탐사 항법에 첫걸음을 뗐다.
우주 AI 솔루션 기업 텔레픽스는 광학 솔루션 기업 LK삼양과 공동 개발한 심우주항법용 차세대 AI 별추적기를 성공적으로 발사했다고 24일 밝혔다.
차세대 AI 별추적기는 23일(현지 시간) 오후 2시 26분(한국시간 24일 오전 6시 26분) 미국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스페이스X의 '팔콘9' 로켓에 실려 우주로 발사됐다. 현재 임무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해 초기 운영을 시작했다.
텔레픽스와 LK삼양은 앞서 지난해 4월 심우주항법용 별추적기 공동 개발 협약을 맺은 데 이어 올 2월에는 우주 발사 테스트 및 양산 사업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AI항법 시스템 독자 개발에 나섰다.
차세대 AI 별추적기는 달, 화성 등 심우주에서 위성이 지상국의 통신 지원 없이 스스로 위치를 파악하고 항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첨단 자율항법 시스템이다. 기존에는 지상국에서 위성을 지속적으로 관제하며 궤도를 제어해야 하기에 오차 누적과 지상 기반 관제도 의존도가 높은 한계가 있었다. 이 때문에 별추적기를 위성에 탑재하면 위성이 자체적으로 항법을 계산할 수 있어 심우주 탐사의 핵심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양사가 개발한 별추적기는 광시야 초고해상도 카메라와 고성능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결합해 별과 행성 등 천체의 상대적 위치를 관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위성 스스로 정확한 위치와 궤도를 계산한다. 위성의 자세만 측정하던 기존 별추적기와 달리 위치 결정 기능까지 구현해 보다 완벽한 자율항법을 가능케 한다.
양사는 이번 시범 운영을 통해 시스템 성능을 검증하고, 향후 달·화성 탐사 등 심우주 임무에 적용하기 위한 추가 연구개발과 상용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텔레픽스는 별추적기 판매뿐 아니라 별추적기로 관측한 별과 행성 정보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을 마련할 계획이다. 아울러, 별을 인식하는 알고리즘 기술과 노하우는 텔레픽스의 위성영상 데이터 분석·활용 솔루션 고도화에도 활용할 예정이다.
텔레픽스의 우주 AI 기술은 KAIST에서 연구 중인 능동제어 위성이 다른 위성을 찾아 가거나, 우주 물체를 정밀 추적·관측에 활용되고 있다.홍경우 텔레픽스 미래혁신연구팀장은 "이번 별추적기 발사는 텔레픽스의 우주 AI 기술이 심우주 탐사 항법 분야에서 본격적인 역할을 하게 되는 첫걸음"이라며 "앞으로도 자율 항법 기술을 고도화해 한국 우주기술 경쟁력을 높여가겠다"고 말했다.
LK삼양 관계자는 "LK삼양의 광학 기술과 텔레픽스의 AI 기술이 결합해 심우주 탐사 핵심 기술을 성공적으로 실증한 점에 큰 의미가 있다"며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글로벌 심우주 항법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