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AWS, 100MW급 AI센터 출범식
AI 글로벌 협력기업 간담회 진행
AI 수요창출·독자 모델 중심 생태계 강화 요청
[이데일리 임유경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일 울산전시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AI 글로벌 협력기업 간담회와 울산 AI데이터 센터 출범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AI 글로벌 협력기업 간담회는 SK그룹의 아마존웹서비스(AWS) 40억 달러(약 5조4600억 원) 투자 유치를 포함해 총 7조원 규모로 알려진 100메가와트(MW)급 울산 AI 데이터센터 출범식을 계기로 마련됐다. 울산 AI 데이터센터는 오는 9월 착공한다. 2027년 11월 41MW급으로 먼저 가동을 시작하고, 2029년 2월 103MW 전체를 가동할 예정이다.
이번 간담회는 SK를 포함해 해외 진출과 글로벌 협력, 그리고 우리나라 AI경쟁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추진 중인 AI·플랫폼 기업이 참여했다. 참여 기업은 카카오, 네이버 클라우드, LG AI연구원, 삼성SDS, 퓨리오사AI, 루닛 등이다. 관계부처 장관과 여야 국회의원들이 모여 우리 AI의 해외시장 진출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활발한 토론이 진행됐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0일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인공지능(AI) 글로벌 협력 기업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먼저, SK는 우리나라 AI산업 성장을 위해 AI 분야 수요 창출과 AI 스타트업 성장 지원, AI 국가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혁신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어 퓨리오사 AI는 국산 AI반도체 양산과 관련된 투자유치 현황과 향후 계획을 설명했다. 이어 카카오는 오픈AI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한 ‘일상 속 AI 서비스’ 확산 계획을 밝혔다. 삼성 SDS는 기업용 AI플랫폼과 솔루션을 통한 글로벌 진출 노력을 소개했다. 루닛은 자사 매출의 93%가 해외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강조하며 해외 데이터 확보 등 정부의 실질적 지원이 필요함을 언급했다.
소버린 AI 확보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논의도 이어졌다. 먼저 LG AI연구원은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해서는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 중심의 생태계 경쟁력 강화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네이버 클라우드 역시 소버린 AI 확보를 위해 적극적인 투자가 중요함을 강조했으며, 한국AI·SW협회도 세계적 수준의 LLM 보유가 이제 필수적인 국가 과제가 됐다며 이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는 국내 AI 기업들의 AI기기·제품 서비스 시연도 마련되었다. 대규모 영상 데이터를 자동으로 분석하고 주요내용을 정리해주는 ‘초거대 영상이해 AI서비스(트웰브랩스)’, 상품 이미지만 업로드하면 상세 페이지를 만들어주는 ‘AI커머스 서비스(스튜디오랩)’ ‘생성형AI 서비스를 구현하는 국산AI반도체(리벨리온)’ 등 우수한 국내 AI기술이 눈길을 끌었다.
향후 정부는 AI시대 고속도로인 AI 데이터센터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민간의 노력을 적극 지원해 나가기로 했다. 지난 3월 조세특례제한법 개정(AI의 국가전략기술 지정) 이후 하위법령 개정 과정에서 AI 데이터센터에 대한 투자 세액공제 확대를 적극 검토한다. 아울러 국회에서도 AI 데이터센터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법안이 발의되어 있는 만큼, 법안 논의 과정에도 적극 참여할 계획이다. 나아가 AI데이터 센터를 포함한 AI인프라, AI인재, 데이터 등 AI생태계 혁신과 이를 통한 AI 3대 강국 도약에 민·관의 역량을 총결집해 나가기로 했다.
임유경 (yklim01@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