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희진 어도어 전 대표. 이준헌 기자
민희진 어도어 전 대표의 또 다른 소송이 막을 올렸다.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31부(부장판사 남인수)는 12일 오후 2시 10분 민 전 대표 등 3명이 하이브를 상대로 낸 풋옵션 행사 관련 주식매매대금 청구 소송의 첫 변론을 진행했다. 이날 하이브가 민 전 대표에게 제기한 주주간 계약해지 확인 소송의 3차 변론도 병행했다.
예상대로 하이브와 민 전 대표 양측의 주주간계약 해지에 대한 입장은 첨예하게 갈렸다.
하이브 측 주장의 핵심은 ‘민희진의 뉴진스 빼가기’였다. 하이브 측은 “(민희진은) 뉴진스를 빼가려고 계획했고 실행까지 했다. 그런 적 없다면 우리가 제출하는 증거에 대해 아니라고 설명하면 된다. 우리가 제출하는 증거는 공개하지 못하게 할 뿐”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민 전 대표 측은 “주주간계약 해지가 문제 되는 시점이 7월 8일이다. 그 이전인 5월 가처분이 있었고, 도쿄돔 공연까지 문제없이 진행됐다. 해지 이후 8월 민희진이 해임됐고 풋옵션 행사도 11월이다. 뉴진스가 전속계약 해지를 외친 것은 11월인데, 멤버들이 해지 선언을 해야 ‘빼가기’가 성립되지 않나.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 반론했다.
민 전 대표는 앞서 하이브를 퇴사하며 서울중앙지방법원에 풋옵션 행사를 위한 대금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풋옵션은 특정 조건에서 거래 당사자인 주주 사이 본인이 보유한 회사 주식 전부 또는 일부를 사전에 정한 가격으로 만기일 또는 그 이전에 팔 수 있는 권리를 사고파는 계약을 뜻한다.
민 전 대표는 어도어의 최근 2개년도 영업이익 평균치에 13배를 곱한 뒤 보유 지분 18% 중 75%인 13.5%에 대한 풋옵션을 행사할 수 있다. 민 전 대표가 지난해 11월 하이브에 어도어 주식에 대한 풋옵션을 행사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으므로, 산정기간은 뉴진스가 데뷔한 2022년부터 2023년으로 근거하게 됐다.
어도어는 2022년 영업손실 40억 원을 기록했으나, 이듬해 335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민 전 대표의 풋옵션 행사 청구가 받아들여질 경우, 그가 받을 수 있는 금액은 260억 원으로 추정된다.
이번 소송에서 핵심 쟁점은 양측의 계약 해지 시점이다. 주주간 게약이 해지 됐다면 풋옵션 역시 소멸되기 때문이다. 하이브 측은 지난해 8월 민 전 대표를 대상으로 주주간 계약을 해지했으며, 동시에 주주간 계약해지 확인 소송을 냈다고 밝혔다. 반면 민 전 대표 측은 풋옵션 행사 당시 계약이 해지됐다고 볼 수 없다는 주장이다.
하이브 측은 다음 기일을 앞두고 재판부에 증인 1명을 신청했다. 민 전 대표 측은 증인을 신청하지 않았다. 증인신문으로 진행되는 다음 기일은 오는 9월 11일이다.
김원희 기자 kimwh@kyunghyang.com
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