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기술사업화 비전선포식 개최
민관 역량 결집해 범부처 기술사업화 생태계 조성
출연연 거점으로 R&D 투자 확대…딥테크 연구소기업 2030년까지 500개 육성
[이데일리 김아름 기자] “대한민국은 많은 연구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연구 성과가 연구실 안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연구 성과가 경제 성장으로 이어지는 건강한 기술 사업화 생태계가 필요합니다.”
30일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국가 기술사업화 비전선포식’에서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과기정통부)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30일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국가 기술사업화 비전선포식’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이 자리에서는 민관 역량을 결집해 공공 연구성과가 국가 경제 성장의 새로운 동력으로 이어지는 범부처 기술사업화 생태계 조성을 위한 비전이 발표됐다.
유 장관은 “정부 10여개 부처가 3개월 간 함께 머리를 맞대고 국가R&D 기술사업화 추진방향을 마련했다”라며 “비전 선포식을 계기로 기술이 산업으로 연결되는 구조적 기반 마련, 범부처 협업을 통한 기술사업화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과 기술창업 이전 기업의 성장 전주기 지원 등 주요 추진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국가R&D 기술사업화는 △공공기술의 사업화 촉진 △기술창업 및 기업성장 지원 △국가 기술사업화 플랫폼 혁신 등 세가지 방향으로 추진된다.
먼저 출연연을 기술사업화 거점으로 육성한다. 기술사업화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하며, 기술사업화 관련 인사, 평가 등의 인센티브를 강화한다. 기술사업화 전담조직(TLO)을 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협력·특성화한다. 대학 기술지주회사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며. 과학기술원은 우수특허를 조기발굴하고 미활용특허에 대한 관리를 강화한다. 공공연구기관이 보유한 특허를 진단하고 등급화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연구자와 경영인의 협력창업 모델을 확대하며, 딥테크 연구소기업을 2030년까지 500개 육성한다. 공공기술 사업화 펀드 조성과 정책금융 지원도 강화한다. 농식품분야는 지자체가 참여하는 실증R&D사업을 추진하며, 보건의료분야는 오송·대구에 창업센터를 구축한다. 우주분야는 경남·전남·대전의 특구를 지정, 육성한다. 범부처 민관합동 협의체를 구성해 유관 공공기관 등 협력을 강화한다. 연구자 사기 제고를 위해 범부처 평가위원 풀에 산업계 전문가를 확대하고(1만3000명 이상), ‘기술개발인의 날’ 법정기념일 지정도 추진한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모두발언을 통해 “대학 안에서도 기술사업화 종합전문회사가 자유롭게 성장할 수 있도록 규제는 과감히 개선하고, 라이즈(RISE) 체계 안에서 지역 특화산업 성장을 견인할 다양한 기술사업화 혁신모델이 창출될 수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빠르게 변하고 있는 기술 발전 환경 속에서 공공 연구 성과가 국가 경제 성장의 새로운 동력이 되는 기술사업화 생태계 조성이 절실하다”며 “식약처는 규제과학을 바탕으로 식의약 분야 첨단 기술의 신속한 제품화와 국민이 안전하게 사용하는 환경 조성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아름 (autumn@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