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징어 어획량 급감으로 피해를 본 동해안의 어업인을 구제하기 위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정해야 한다.”
김영헌(사진) 경북 포항시의원은 22일 포항시의회에서 열린 314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오징어 어획량 감소가 재해에 준하는 수준”이라며 “피해 어업인이 장기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최근 동해안의 대표 어종인 오징어는 동해 바다 기온상승으로 어군이 북상하고 중국어선의 불법 남획으로 어획량이 급격하게 줄었다.
김 의원에 따르면 포항시의 지난해 오징어 위탁 판매량은 2022년 대비 76.6%, 판매금액은 67.7% 줄었다. 이는 전국 오징어 위탁 판매량 감소율 38.5%의 2배 정도고 판매금액 감소율 18.7%의 약 3.6배에 이른다.
또 중국어선의 불법조업은 2020년 기준 2400여척으로 2004년에 비해 16배 이상 증가했다.
오징어 어획량 급감으로 인한 어선원의 실업, 생계 문제는 재해로 봐야 할 만큼 피해가 심각하다.
그는 “포항시 관내 오징어 채낚기 어업은 작년 10월부터 현재까지 전혀 출어를 못하고 있다”면서 “채낚기어선 등 100여척이 임시 폐업 수준으로 수백명의 선원이 6개월 이상 일자리를 잃고 생계를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했다.
지난해 포항시가도산위기에 처한 어업인의 경영 부담을 덜기 위해 오징어 어선 76척에 출어경비를 긴급 지원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김 의원은 “상대적으로 어업과 선원 문제 등은 관심에서 멀어져 있다”면서 “동해안의 지자체들이 연계해 특별재난지역 선포될 수 있도록 정부에 건의하고 오징어 선원의 생계비 지원 관련 대책마련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